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도강간등)·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강간등상해치상)·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등)·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강간등)·주거침입·강도살인·도주·체포·강요·여신전문금융업법위반·절도·사기] [공2002.4.1.(151),726]

warn

변경된 판례인 대법원 1998. 6. 9. 선고 98도980 판결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판시사항

[1] 강도살인죄에 있어서 살인의 범의의 인정 기준 및 피고인이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는 없었고 상해 또는 폭행의 범의만이 있었을 뿐이라고 다투는 경우, 살인의 범의에 대한 판단 기준

[2] 강도가 베개로 피해자의 머리부분을 약 3분간 누르던 중 피해자가 저항을 멈추고 사지가 늘어졌음에도 계속하여 누른 행위에 살해의 고의가 있었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3] 사형의 선고가 허용되기 위한 요건

[4] 피고인에게 사형을 선고한 것은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는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5] 강간범이 강간의 범행 후에 특수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부녀의 재물을 강취한 경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5조 제2항 소정의 특수강도강간죄로 의율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소극)

판결요지

[1] 강도살인죄에 있어서의 살인의 범의는 반드시 살해의 목적이나 계획적인 살해의 의도가 있어야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기의 행위로 인하여 타인의 사망의 결과를 발생시킬 만한 가능 또는 위험이 있음을 인식하거나 예견하면 족한 것이고 그 인식이나 예견은 확정적인 것은 물론 불확정적인 것이라도 이른바 미필적 고의로 인정되는 것인바, 피고인이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는 없었고 단지 상해 또는 폭행의 범의만 있었을 뿐이라고 다투는 경우에 피고인에게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종류·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

[2] 강도가 베개로 피해자의 머리부분을 약 3분간 누르던 중 피해자가 저항을 멈추고 사지가 늘어졌음에도 계속하여 누른 행위에 살해의 고의가 있었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3] 우리 법이 사형제도를 두고 있지만, 사형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마지막 형벌이므로, 사형의 선고는 범행에 대한 책임의 정도와 형벌의 목적에 비추어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고, 따라서 사형을 선고함에 있어서는 범인의 연령, 직업과 경력, 성행, 지능, 교육정도, 성장과정, 가족관계, 전과의 유무,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의 동기, 사전계획의 유무, 준비의 정도, 수단과 방법, 잔인하고 포악한 정도, 결과의 중대성, 피해자의 수와 피해감정, 범행 후의 심정과 태도, 반성과 가책의 유무, 피해회복의 정도, 재범의 우려 등 양형의 조건이 되는 모든 사항을 참작하여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4] 피고인이 약 1년 6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9명의 부녀자에 대한 강간 등의 범행으로 제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항소심 재판을 기다리던 중 도주하여 다시 강도살인의 범행을 저지른 사안에서 피고인에게 아직 교화개선의 여지가 있고 우발적으로 피해자를 살해한 것으로 보이며 재판과정에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범행을 자백하면서 깊이 참회하고 반성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사형을 선고한 것은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는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5] 강간범이 강간행위 후에 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그 부녀의 재물을 강취하는 경우에는 형법상 강도강간죄가 아니라 강간죄와 강도죄의 경합범이 성립될 수 있을 뿐인바,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5조 제2항은 형법 제334조(특수강도) 등의 죄를 범한 자가 형법 제297조(강간) 등의 죄를 범한 경우에 이를 특수강도강간 등의 죄로 가중하여 처벌하고 있으므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강간범이 강간의 범행 후에 특수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그 부녀의 재물을 강취한 경우에는 이를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5조 제2항 소정의 특수강도강간죄로 의율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형법 제13조 , 제338조 / [2] 형법 제13조 , 제338조 / [3] 형법 제41조 , 제51조 / [4] 형법 제41조 , 제51조 ,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 , 제391조 / [5] 형법 제297조 , 제334조 ,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5조 제2항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박동섭 (국선) 

원심판결

고등군법 200 1. 11. 13. 선고 2001노159, 409(병합)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피고인과 국선변호인의 각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1. 사실오인의 주장에 대하여

강도살인죄에 있어서의 살인의 범의는 반드시 살해의 목적이나 계획적인 살해의 의도가 있어야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기의 행위로 인하여 타인의 사망의 결과를 발생시킬 만한 가능 또는 위험이 있음을 인식하거나 예견하면 족한 것이고 그 인식이나 예견은 확정적인 것은 물론 불확정적인 것이라도 이른바 미필적 고의로 인정되는 것인바, 피고인이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는 없었고 단지 상해 또는 폭행의 범의만 있었을 뿐이라고 다투는 경우에 피고인에게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종류·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도5590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용 증거들과 피고인의 원심법정에서의 진술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도망을 가려는 피해자 1의 어깨를 잡아 방으로 끌고 와 침대에 엎드리게 하고 이불을 뒤집어 씌운 후 침대에 있던 베개로 피해자 1의 머리부분을 약 3분간 힘껏 누른 사실, 이에 피해자 1이 손발을 휘저으며 발버둥치다가 움직임을 멈추고 사지가 늘어졌음에도 계속하여 약 10초간 누르고 있었던 사실, 이어서 피고인이 피해자 1의 맥박과 숨소리가 끊겨 사망한 것을 확인하고 피해자 1을 잠자는 것처럼 위장해 놓은 뒤 방안에 있던 강취물들을 가방에 넣고 사건 장소를 빠져나온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이러한 범행과정과 범행 후의 정황들에 미루어 보면, 이 사건 범행 당시 피고인이 단순히 위협할 목적으로 피해자 1의 몸을 누르고 있었다고 볼 수는 없고, 살해의 고의가 있었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강도살인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고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강도살인죄의 범의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원심판결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용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이 제1심 판시 피해자 2, 3으로부터 금품을 강취한 사실과 강간을 할 목적으로 피해자 4의 주거에 침입한 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위 각 사실에 관하여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2. 양형부당의 주장에 대하여

가. 원심판결의 요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은 20대 후반의 성숙한 남성이고, 육군장교로 임관할 수 있을 정도로 지극히 정상적인 심신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자로서 그 자신도 처와 자식이 있는 몸임에도 약 1년 6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무려 9명의 부녀자를 총 10회에 걸쳐 연쇄적으로 강간하는 범행을 저질렀고, 특히 그 범행과정에서 만 14세의 어린 여학생을 강간하거나 여동생을 묶어놓고 그 언니를 강간하고, 약 3개월 후 동일한 피해자를 재차 강간하였으며, 피해자의 아들을 이불로 뒤집어 씌워놓고 피해자를 강간하는 등 대담하고 극악한 방법으로 피해자들을 유린하였고, 이후 이러한 범행을 뉘우치지 아니한 채 위 각 강간 등의 범행에 대하여 중형을 선고받고 항소심 재판을 기다리던 중 도주하여 다시 이 사건 강도살인의 범행을 저질렀는데, 피고인이 도피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피해자 1의 숙소에 침입한 후 18세의 여성인 피해자 1이 특별히 반항하거나 저항하지 않는 상태에서 오로지 자신의 범행사실과 도주자로서의 신분이 탄로날 것이 두려워 피해자 1을 이불과 베개로 눌러 질식시켜 살해한 후 마치 피해자 1이 잠을 자는 것처럼 위장해 놓고 자신의 발자국을 수건으로 닦고 피해자 1로부터 강취한 물건을 피해자 1의 가방에 넣어 범행현장을 빠져나옴으로써 적극적이고 대담하게 범행의 은폐를 기도한 점 등에 비추어 그 범행을 도저히 용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 강도살인의 범행 후에도 친구인 공소외인을 이용하여 피해자로부터 강취한 신용카드로 현금을 인출하거나 컴퓨터를 구입하고, 범행이 탄로날 것에 대비하여 공소외인으로 하여금 알리바이를 조작하도록 하였으며, 그 후 체포될 때까지 수일간을 태연하게 컴퓨터게임을 즐기며 지내고, 체포된 이후에도 고의적으로 정신이상증세가 있는 것처럼 행세하면서 범행을 부인하다가 공소외인의 진술을 토대로 한 수사관들의 추궁에 못이겨 범행을 자인하는 등 반성과 회개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바, 이와 같이 이 사건 각 범행의 동기가 지극히 비열하고 그 수단이 잔혹하며, 범행 후에도 피해회복을 위한 노력이나 반성의 빛이 전혀 보이지 아니한 데다가, 피고인에 의하여 살해된 피해자의 유족 및 9명의 강간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이 겪어야 할 정신적· 육체적 고통이 큰 점 등 이 사건 범행의 동기·횟수·수단과 결과·피해자들과의 관계·범죄 후의 정황들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의 교화라는 특별예방적 형벌목적이나 사형제도가 갖는 일부 문제점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범죄에 대한 응보와 사회방위의 필요성이라는 일반예방적 차원에서 피고인을 영원히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극형의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각 범행들을 경합범으로 처단하면서 그 중 가장 중한 강도살인죄의 법정형 중 사형을 선택하여 피고인에 대하여 사형을 선고하였다.

나. 이 법원의 판단

우리 법이 사형제도를 두고 있지만, 사형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마지막 형벌이므로, 사형의 선고는 범행에 대한 책임의 정도와 형벌의 목적에 비추어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고, 따라서 사형을 선고함에 있어서는 범인의 연령, 직업과 경력, 성행, 지능, 교육정도, 성장과정, 가족관계, 전과의 유무,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의 동기, 사전계획의 유무, 준비의 정도, 수단과 방법, 잔인하고 포악한 정도, 결과의 중대성, 피해자의 수와 피해감정, 범행 후의 심정과 태도, 반성과 가책의 유무, 피해회복의 정도, 재범의 우려 등 양형의 조건이 되는 모든 사항을 참작하여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도5736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1976년생으로서 실내장식업을 하는 부모 슬하에서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사병으로 군에 입대하였다가, 사관후보생에 지원하여 1998. 10. 1. 소위로 임관된 뒤 1998. 10. 7. 육군 제11사단에 부임하였고, 이 사건 범행 당시 위 사단 예하 20연대 소속 작전항공장교로 근무해 왔으며, 1998년 6월경 혼인하여 슬하에 아들 하나를 두고 남들과 다름없는 가정생활을 하던 자로서 이 사건 각 범행 이외에는 별다른 전과가 없는 사실, 피고인은 부임초기 부대 내의 인터넷교관으로 활동하는 등 임무수행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인정받고 성실하게 근무하면서 대인관계도 원만하였던 사실을 각 알 수 있는바, 이러한 피고인의 나이, 성장과정, 성행, 가정환경, 경력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은 아직도 교화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보인다.

나아가, 기록에 나타난 피고인의 이 사건 각 범행 및 범행 후의 정황 등에 관하여 보면, 피고인은 1999년 여름경부터 부대 근무시간 이후에 심야까지 인터넷과 PC게임 등에 몰두하기 시작하면서 부부간에 말다툼이 생김과 동시에 동료들과의 대화가 줄어들게 되었고, 급기야 인터넷을 통하여 외국의 포르노 동영상 등 음란물에 탐닉하여 무분별한 성적 망상과 충동에 빠진 끝에 이 사건 강간 등의 범행을 저지르게 되었는데, 피고인이 위 강간 등의 범행으로 제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고 도주한 후 피해자 1의 금품을 강취하고 동인을 살해하게 된 것은 처음부터 계획하고 의도한 것이 아니라 금품 강취 후 피해자 1이 소리를 지르며 방에서 도망을 하려고 하자 자신의 강취범행과 당시 탈영하여 도주중인 사정이 발각될 것을 우려하여 순간적으로 흥분된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피해자 1을 살해한 것으로 보이는 사실, 위 강도살인 등의 범행으로 다시 체포되어 기소된 이후부터는 원심법정에 이르기까지 살인의 범의 등 일부의 사실을 제외한 나머지 이 사건 각 범행을 순순히 자백하고 피해자들에게 끼친 고통과 상처에 대하여 깊이 참회하고 반성하고 있는 사실을 각 알 수 있다.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피고인이 국토를 방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여야 하는 사명을 지닌 군인이자 부하장병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할 장교의 신분으로서 연약한 피해자들을 상대로 도저히 용서받기 어려운 원심 판시의 이 사건 각 범행을 저지른 점에서 원심이 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피고인을 마땅히 중형에 처하여야 할 사정이 있음은 충분히 인정된다고 할 것이나, 위와 같은 피고인의 나이, 경력, 범행동기, 범행내용과 범행 후의 정황 등 양형조건이 되는 제반 사항과 아울러 앞서 본 사형의 형벌로서의 특수성이나, 다른 유사사건에서의 일반적인 양형과의 균형 등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피고인에게 사형을 선고한 것은 그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고, 원심은 이 점에서 파기를 면할 수 없다.

3. 한편, 강간범이 강간행위 후에 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그 부녀의 재물을 강취하는 경우에는 형법상 강도강간죄가 아니라 강간죄와 강도죄의 경합범이 성립될 수 있을 뿐인바(대법원 1977. 9. 28. 선고 77도1350 판결 참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이하 '성폭력처벌법'이라고 한다) 제5조 제2항은 형법 제334조(특수강도) 등의 죄를 범한 자가 형법 제297조(강간) 등의 죄를 범한 경우에 이를 특수강도강간 등의 죄로 가중하여 처벌하고 있으므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강간범이 강간의 범행 후에 특수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그 부녀의 재물을 강취한 경우에는 이를 성폭력처벌법 제5조 제2항 소정의 특수강도강간죄로 의율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와 원심이 인용하고 있는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해자 2, 3에 대한 각 특수강도강간의 점을 각 성폭력처벌법 제5조 제2항으로 의율·처단하고 있으나, 원심이 확정한 범죄사실에 의하더라도 피고인이 위 각 피해자들을 강간한 후에 강취범행을 한 것으로만 설시되어 있어, 과연 피고인이 처음부터 특수강도의 범의를 가진 상태에서 그 폭행·협박의 한 방법으로 강간을 한 것인지 또는 강간 후에 비로소 특수강도의 범의가 발동되어 이를 실행한 것인지 여부 등이 불분명하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점에 관하여 더 나아가 심리해 본 다음, 위 각 행위에 적용할 형벌법규를 정하였어야 할 것임에도 이에 관한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법령을 적용한 위법이 있음을 아울러 지적해 둔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이규홍 
 
대법관 
송진훈 
주심 
대법관 
변재승 
 
대법관 
변재승 
  • 북마크
  • 인쇄
  • 오류신고

많이 하이라이트된 문장 표시

소송경과

인용판례
유사판례
  • 대법원 2018. 9. 13. 선고 2018도11299 판결PRO

    …해의 의도가 있어야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기의 행위로 인하여 타인의 사망의 결과를 발생시킬 만한 가능 또는 위험이 있음을 인식하거나 예견하면 족한 것이고 그 인식이나 예견은 확정적인 것은 물론 불확정적인 것이라도 이른바 미필적 고의로 인정된다(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2003. 4. 25. 선고 2003도949 판결 등 참조).

  • 대법원 2018. 3. 29. 선고 2017도21254 판결PRO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 · 종류 · 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도5590 판결,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등 참조).

  • …50 판결(공1977, 571), 대법원 1988. 9. 9. 선고 88도1240 판결(공1988, 1288),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공2002상, 726),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도3594 판결 / [2] 대법원 1964. 9. 8. 선고 64도310…

  • 【참조판례】 [1][2]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공2002상, 726) / [1] 대법원 1988. 9. 9. 선고 88도1240 판결(공1988, 1288) / [3] 대법원 2009. 8. 20. 선고 2009도4590 판결(공2009하, 1591), …

  • …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종류·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 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6도734 판결 등 참조).

  • …이라고 다투는 경우에 피고인에게 범행 당시 살인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준비된 흉기의 유무·종류·용법,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사망의 결과발생가능성 정도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등 참조).

  •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공2002상, 726), 대법원 2003. 3. 28. 선고 2002도6611 판결 ,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924 판결(공2003하, 1566)

  • … 모든 사항을 철저히 심리하여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명확하게 밝힌 후 비로소 사형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고(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참조), 이를 위하여는 법원으로서는 마땅히 기록에 나타난 양형조건들을 평면적으로만 참작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피고인의 주관적인 양형요소인 성행과 환경, 지…

인용판례 전체 보기

주석서에서 9회 인용

  • 주석 형법 총칙1 제2장 죄 제13조 [범의]PRO

    ⋯각주19) 강도가 베개로 피해자의 머리부분을 약 3분간 누르던 중 피해자가 저항을 멈추고 사지가 늘어졌음에도 계속하여 누른 경우, 각주20) 과도로 피해자의 목부위를 찌른 경우, 각주21) 건장한 체격의 군인이 왜소한 체격의 피해자를 폭행하고 특히 급소인 목을 설골이 부러⋯

    각주20)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총칙1 제2장 죄 제13조 [범의]PRO

    ⋯족한 것이고 그 인식 또는 예견은 확정적인 것은 물론 불확정적인 것이라도 소위 미필적 고의로 인정된다.”라고 한 이래, 위 ③항과 동일한 판시가 이어지고 있다. 각주82) 이와 같이 유독 살인죄의 경우 대법원이 명시적으로 여타 범죄와는 다른 판시를 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판례가 인식설 혹은 가능성설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견⋯

    각주82)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총칙2 제3장 형 [총설]PRO

    ⋯보는 그 목적이 아니라는 소수의견을 가진 것이 있지만, 각주3) 응보와 예방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기본입장이라고 생각되며, 각주4) 이 점에서 절충적 이론에 입각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Ⅱ. 보안처분 374 1. 보안처분의 의의 범죄에 대한 법률효과로서의 형사제재에는 형벌 외에도 보안처⋯

    각주4)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총칙2 제3장 형 제41조 [형의 종류]PRO

    ⋯ 나. 사형선고의 기준 사건에 대한 양형의 결과 사형을 선택하는 합리적인 판단기준에 대법원은 일응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각주100) 사형은 인간의 생명 자체를 영원히 박탈하는 냉엄한 궁극의 형벌로서 문명국가의 이성적인 사법제도가 상정할 수 있는 극히 예외적인 형벌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사⋯

    각주100)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각칙편3 제24장 살인의 죄 제250조 [살인, 존속살해]PRO

    ⋯자가 두개골 골절로 인한 뇌출혈 등으로 사망한 것이라면, 피고인에게는 살인의 범의가 있었다고 보기에 충분하다. 4) 목 부위 등을 누르거나 조른 사례 [판 례]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강도살인 사안) 피고인이 도망을 가려는 피해자의 어깨를 잡아 방으로 끌고 와 침대에 엎드리게 하고 이불을 뒤집어 씌운 후 침대에 있던 베개로 피해자의 머리 부분⋯

  • 주석 형법 각칙편 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 [후론 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PRO

    ⋯ 것이므로, 반대로 강간범이 강간행위 후에 강도의 범의를 일으켜 흉기로 위협한 다음 피해자의 재물을 강취한 경우에는 강간죄와 특수강도죄의 실체적 경합범이 된다. 각주19) 다만 강간범이 강간행위 종료 전, 즉 그 실행행위의 계속 중에 특수강도의 행위를 한 경우에는 이때에 바로 강도의 신분을 취득하는 것이므로 이후에 그 자리에서 강간⋯

    각주19)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각칙편 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 [후론 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PRO

    ⋯벌 등에 관한 특례법 15조). 한편 본죄의 법정형에는 위와 같이 ‘사형’도 규정되어 있으나, 대법원은 사형의 선택에 대하여 지극히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각주24) 5) 법정형 관련 본 조항의 법정형과 관련하여, 살인죄의 법정형 보다 더 높기 때문에 형법 각칙의 법익위계질서를 흔들어 놓고 있다는 비판도 있으나, 헌법재판소는⋯

    각주24)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각칙편 제38장 절도와 강도의 죄 제333조 [강도]PRO

    ⋯강도범인이 부녀를 강간할 목적으로 폭행·협박에 의하여 반항을 제압한 후 비로소 소지품탈취의 범의가 생겨 이를 탈취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강도죄의 성립을 인정한다. 각주44) 부녀를 강간한 후 동녀가 공포심으로 항거불능상태에 빠져있음을 이용하여 금품을 강탈하는 경우는 물론, 강간피해자인 부녀가 범인으로부터 폭행·협박을 받던 중 범인에⋯

    각주44)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 주석 형법 각칙편 제38장 절도와 강도의 죄 제339조 [강도강간]PRO

    ⋯후 부녀자가 공포상태에 있음을 기화로 재물탈취의 범의가 생겨 그 부녀자의 소지품을 강취한 경우에는 본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강간죄와 강도죄의 실체적 경합범이다. 각주2) 다만 특수강도가 강간 등을 한 경우 및 살인 치사를 한 경우에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2항(특수강도강간), 제9조(강간 등 살인·치사) 제⋯

    각주2)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1도6425 판결

13개 문헌에서 인용

  • 전지연, “한국형사법학 60년”, 형사법연구 제29권 제3호 (2017. 9.), 29-76.
  • 이덕인, “양형으로서 사형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 比較刑事法硏究 10卷 2號 (2008.12) 93-120.
  • 신양균, “절대적 종신형을 통한 사형폐지?”, 比較刑事法硏究 9卷 2號 (2007.12) 617-646.
  • 임석원, “결합범의 미수에 관한 문제점과 해석 및 정비방향”, 刑事政策硏究 20卷 2號 (78號.2009.여름호) 93-124.
  • 이덕인, “사형선택의 요건과 회피방안에 대한 검토”, 韓國刑事法學의 오늘 : 貞穩李榮蘭敎授華甲記念論文集 371-396.
  • 이경렬, “사형사법:적용기준과 증거규칙의 확립”, 比較刑事法硏究 9卷 2號 (2007.12) 569-598.
  • 조원철, “間接證據에 의한 事實의 認定”, 裁判資料 . 第110輯 : 사실인정 방법론의 정립[형사재판편] 27-206.
  • 이상철,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때에 관한 연구”, 刑事判例硏究 14號 (2006.09) 307-354.
  • 한상훈, “結合犯의 構造와 身分犯과의 關係 : 준강도죄와 강도강간죄를 중심으로”, 法曹 54卷 1號 (通卷580號) (2005.01) 96-133.
  • 전지연, “부작위범에서 정범과 공범의 구별”, 刑事判例硏究 13號 (2005.09) 95-137.
  • 윤병철, “생명 침해범에 대한 양형”, 刑事判例硏究 12號 (2004.07) 122-157.
  • 황정근, “국제기준에 비추어 본 한국 형사사법절차의 개선방향”, 司法改革과 世界의 司法制度 . II II (2004.12) 13-43.
  • 전지연, “不作爲에 의한 正犯과 共犯”, 저스티스 76號 (2003.12) 292-315.
오류 신고하기

현재 판결문에서 잘못 표기된 부분이 있거나 소송경과, 확정 여부 정보 등에 대해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확인 후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의견보내기

케이스노트의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까요?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은 케이스노트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