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손해배상(기)] [공2005.8.1.(231),1232]

판시사항

[1]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 결정이 사실심 법원의 직권에 속하는 재량 사항인지 여부(적극)

[2] 공동불법행위자 중 1인이 위자료 일부를 배상한 경우, 다른 배상의무자의 위자료 산정 방법

판결요지

[1]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에 관하여는 사실심 법원이 제반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다.

[2]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위자료의 일부로서 금원을 지급한 경우 법원은 위자료 액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사정을 참작할 수 있는 것인바, 이러한 법리는 민법 제760조에 따라 각자가 손해액 전부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 공동불법행위자 중 1인이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원고,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화우 담당변호사 김태훈 외 1인)  

피고,피상고인

피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베스트 담당변호사 박정해 외 4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4. 10. 26. 선고 2003나8477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손해배상금 산정에 관한 법리오해 여부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 1이 원고의 남편인 소외인과 여러 차례 해외여행을 다녀오고 지속적으로 그와 교제하여 소외인의 원고에 대한 부정행위에 가담함으로써 원고가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임은 경험칙상 명백하므로 피고 1은 이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정신적 고통을 금전으로 위자할 의무가 있는데, 원고와 소외인 및 피고 1의 학력, 나이와 재산관계, 원고와 소외인 사이의 혼인기간과 피고 1이 소외인과 부정한 관계를 맺은 기간, 원고와 소외인 사이의 혼인이 파탄에 이르게 된 경위와 그 후의 사정으로서 원고가 소외인으로부터 위자료로 금 1억 원을 수령하고 협의이혼하였는데 피고 1이 위 금원의 일부를 부담한 점 등 이 사건 변론과정에서 드러난 모든 사정을 참작하면, 그 위자료의 액수는 금 20,000,000원으로 정함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에 관하여는 사실심 법원이 제반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고(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다43165 판결 등 참조),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위자료의 일부로서 금원을 지급한 경우 법원은 위자료 액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사정을 참작할 수 있는 것인바( 대법원 1999. 11. 26. 선고 99다34499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는 민법 제760조에 따라 각자가 손해액 전부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 공동불법행위자 중 1인이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위의 법리에 기초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공동불법행위자인 소외인이 원고에게 위자료를 지급한 사실을 참작하여 이 사건 위자료 액수를 산정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서 손해배상의 발생원인과 위자료액 산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처분문서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 및 채증법칙 위배 여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 2는 피고 1의 아버지로서 도의적인 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판시 각서를 작성하였을 뿐 위 피고가 피고 1의 손해배상채무를 보증하였다거나 성인으로서 만 35세가 넘은 딸인 위 피고에 대한 감독에 관하여 독자적으로 손해배상책임을 지겠다는 의미의 약정을 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나아가 피고 2가 가족의 애경사에 찾아온 소외인과 인사를 하였다는 점만으로 이들의 부정행위에 적극 가담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피고 2에 대한 청구를 기각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을 정당한 것으로서 수긍하지 못할 바 아니므로,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처분문서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그 해석을 그르쳤다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고현철 
주심 
대법관 
윤재식 
 
대법관 
강신욱 
 
대법관 
김영란 
  • 북마크
  • 인쇄
  • 오류신고

소송경과

인용판례
유사판례
  • 사실심 법원은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를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해 확정할 수 있으므로(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원심이 피고들에게 판시와 같은 액수의 위자료 지급을 명한 것은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위자료 액수 산정에 관한 재량의 한계를 넘은 잘못이 없다.

  •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에 관하여는 사실심 법원이 제반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는바(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참작하여 이 사건 위자료 액수를 그와 같이 산정…

  • …을 특정하여 청구하여야 하고, 법원도 그 내역을 밝혀 각 청구의 당부에 관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다32569 판결 등 참조). 또한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는 사실심 법원이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으로 확정할 수 있다(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 …액을 특정하여 청구하여야 하고, 법원도 그 내역을 밝혀 각 청구의 당부에 관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다32569 판결 등 참조). 또한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는 사실심법원이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으로 확정할 수 있다(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에 관하여는 사실심법원이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다(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다43165 판결,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 대법원 2008. 2. 28. 선고 2006다38314 판결PRO

    …러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다 할 것인바(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이 인정한 과실상계비율은 적절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원심이 산정한 위자료액수가 지나치게 과다하다고도 볼 수 없다…

  • …(공2003상, 211),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공2003하, 1695),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공2005하, 1232),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5다47014, 47021, 47038 판결(공2006상, 313) …

  • …8다41377 판결(공1999상, 998),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다43165 판결(공2003상, 211),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공2003하, 1695),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공2005하, 1232)

인용판례 전체 보기

주석서에서 3회 인용

  •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6 제5장 불법행위 [불법행위의 제유형 : 인격권]PRO

    ⋯ 불법행위로 입은 정신상 고통에 대한 위자료 액수에 관하여는 사실심 법원이 제반 사정을 참작하여 그 직권에 속하는 재량에 의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다고 해왔다. 각주243) 대법원은 위자료를 결정할 때에 법원이 그 위자료 액수 결정의 근거가 되는 제반 사정을 판결 이유 중에 빠짐없이 명시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이 위자료의 산⋯

    각주243)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8 제5장 불법행위 제760조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PRO

    ⋯동불법행위자 중 1인이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한 경우 이러한 사정을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의 위자료를 산정함에 있어 참작할 수 있다고 하여 참작 방식을 취하였다. 각주641) 공제방식은 공동면책에 따른 구상관계가 명확하나 참작방식의 경우 구상관계가 불명확해질 수 있다. 라. 부담부분 1) 부담부분의 결정 공동불법행위자 사이의 부담부분에⋯

    각주641)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 주석 민법 친족1 제3장 혼인 제843조 [준용규정]PRO

    ⋯ 등의 사례가 실무에서 발견된다. 나) 이에 대하여 배우자가 원고에게 위자료로 지급 또는 상계한 부분의 면책을 인정하지 않고 위자료 액수 산정에 참작한 대법원(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66001 판결) 및 하급심 판결( 수원지방법원 2006. 8. 30. 선고 2005드단21361 판결, 광주고등법원 2011. 3. 30. 선고 2010르122, 2011르3⋯

오류 신고하기

현재 판결문에서 잘못 표기된 부분이 있거나 소송경과, 확정 여부 정보 등에 대해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확인 후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의견보내기

케이스노트의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까요?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은 케이스노트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