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부당이득금] [공1994.9.15.(976),2291]

닫기
  • 전체 요약

  • 사실관계 요약

  • 법률쟁점 요약

  • 파기이유 요약

요약 Beta

케이스노트는 요약문의 정확성을 담보하지 않으며, 정확한 판시사항은 판례 전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판시사항

가. 채권자 갑에 의한 대위소송의 기판력이 후소인 채권자 을에 의한 대위소송에 미치는지 여부

나. 기판력항변과 판단유탈

다. 민법 제496조의 입법취지와 중과실로 인한 불법행위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상계금지의 가부

판결요지

가. 어느 채권자가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제3채무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판결을 받은 경우, 어떠한 사유로든 채무자가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았을 경우에 한하여 그 판결의 효력이 채무자에게 미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그 후 다른 채권자가 동일한 소송물에 대하여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소를 제기하면 전소의 기판력을 받게 된다고 할 것이지만, 채무자가 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전소의 기판력이 다른 채권자가 제기한 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에 미치지 않는다.

나. 후소가 전소의 기판력을 받는지 여부는 직권조사사항이고 이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은 직권발동을 촉구하는 의미밖에 없으므로, 기판력 저촉의 본안전항변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판단하지 아니한 채 본안에 관하여만 판단하였더라도 그 항변이 이유가 없는 한 판단유탈의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다. 민법 제496조가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상계를 금지하는 입법취지는 고의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하여 상계를 허용한다면 고의로 불법행위를 한 자가 상계권행사로 현실적으로 손해배상을 지급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보복적 불법행위를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고,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가해자의 상계권행사로 인하여 현실의 변제를 받을 수 없는 결과가 됨은 사회적 정의관념에 맞지 아니하므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있는바, 이 같은 입법취지나 적용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고의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상계금지를 중과실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까지 유추 또는 확장적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고, 피상고인

허필수 외 8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진흥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광주은행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미합동법률사무소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9.24. 선고 92나56065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 및 피고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1. 중복제소금지원칙 위반여부

기록에 의하면, 소외 범양제지공업주식회사(이하 소외 회사라 한다)의 다른 채권자들인 소외 최진풍, 최호정이 소외 회사를 대위하여 피고 주식회사 광주은행(이하 피고라 한다)을 상대로 이 사건과 같은 내용의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 대하여 제1심인 광주지방법원이 1989.5.10. 위 법원 88가합5930호로 위 원고들의 청구를 전부 인용하는 판결을 선고하고, 항소심인 광주고등법원이 1990.6.14. 위 법원 89나3235호로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위 원고들의 청구를 전부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하고, 대법원이 1991.2.8.선고 90다카23387호로 상고기각판결을 선고함으로써 위 판결이 확정되었고, 한편 이 사건 원고들은 자신들의 소외 회사에 대한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소외 회사를 대위하여 소외 회사의 피고에 대한 위와 같은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인 이 사건 소를 1991.9.9. 제기하였음이 기록상 명백하다.

채권자대위소송이 이미 법원에 계속중에 있을 때 같은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가 동일한 소송물에 대하여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소를 제기한 경우 시간적으로 나중에 계속하게 된 소송이 중복제소금지의 원칙에 위배하여 부적법한 소가 될 것(당원 1990.4.27.선고 88다카25274, 25281 판결; 당원 1994.2.8.선고 93다53092 판결 참조)임은 소론과 같으나, 이 사건의 경우에는 위에서 인정한 바와 같이 원고들이 아닌 다른 채권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이 원고들에 의한 이 사건 소제기 이전에 이미 확정되어 소송 계속중에 있지 아니하므로 뒤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력에 관한 것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후소인 이 사건 소송이 중복제소에 해당하여 위법하다는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기판력과 판단유탈

어느 채권자가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제3채무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어떠한 사유로든 채무자가 위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았을 경우에 한하여 그 판결의 효력이 채무자에게 미치므로(당원 1975.5.13. 선고 74다1664 판결; 당원 1988.2.23. 선고 87다카1180 판결 참조) 이러한 경우에는 그 후 다른 채권자가 동일한 소송물에 대하여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소를 제기하면 전소의 기판력을 받게 된다고 할 것이지만, 채무자가 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전소의 기판력이 다른 채권자가 제기한 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에 미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기록상 소외 최진풍 등이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여 제기한 위 소송이 계속중임을 소외 회사가 알았다고 인정할 아무런 자료가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는 위 전소의 기판력이 채무자인 소외 회사에 대하여 미치지 아니하고 따라서 원고들이 소외 회사를 대위하여 제기한 이 사건 소에도 미치지 아니하므로 기판력을 이유로 한 피고의 본안전항변은 이유가 없다.

그리고 후소가 전소의 기판력을 받는지 여부는 직권조사사항이고 이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은 직권발동을 촉구하는 의미밖에 없으므로 원심이 피고의 위 본안전항변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판단하지 아니한 채 본안에 관하여만 판단하였더라도 위 항변이 이유 없는 것인 이상 판단유탈의 상고이유로 삼을 수는 없다(당원 1990.4.27. 선고 88다카25274,25281 판결; 당원 1990.11.23. 선고 90다카21589 판결 참조).

따라서, 원심판결에 채권자대위소송의 기판력에 관한 법리오해 및 본안전항변에 관한 판단유탈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도 모두 이유가 없다.

3. 채증법칙위반, 심리미진, 이유불비, 이유모순 등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의 피용인 소외 박순채가 정리절차가 진행중이던 소외 회사의 관리인인 피고의 대리인으로서 회사정리법 제101조, 제43조에 의한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다하지 못한 업무상의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처분행위를 할 수 있는 이 사건 기계.기구에 관하여 법원의 허가를 받지 아니한 채 피고를 근저당권자로 하여 이미 공장저당이 설정되어 있던 소외 회사 소유의 공장건물과 부속건물 및 이에 설치된 기계.기구에 이 사건 기계.기구를 추가담보로 제공하여 근저당권 목록에 추가등재하고 소외 회사에 대한 정리절차폐지 후 임의경매절차에 의하여 이 사건 기계.기구를 포함한 위 공장건물 등과 기계.기구 일체를 피고가 경락받아 소외 신강제지주식회사에 매도함으로써 소외 회사에 대하여 불법행위를 저질렀다고 하여 피고가 위 박순채의 사용자로서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본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논지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심리미진, 이유불비, 이유모순 또는 입증책임분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4. 민법 제496조에 대한 법리오해

가. 원심은 피고의 상계항변에 대하여, 민법 제496조에 의하면,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는 법률상 허용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는바, 위 규정의 입법취지는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는 동시에 불법행위의 유발을 방지하려는 것이라고 설명되고 있고, 그러한 의미에서 원칙적으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로 한정되고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는 배제되는 것이지만, 주관적 요건으로서의 고의, 과실의 입증상의 어려움이나 그 구분이 불명확한 점(미필적 고의나 인식 있는 과실과 같이 한계적인 경우가 발생한다), 또 상계금지를 주장하는 채무자에게 고의의 입증책임이 있으므로, 채권자가 고의를 은폐하여 채무자에 대하여 어떠한 불법행위를 하는 경우에 위 상계금지조항의 입법취지가 몰각될 위험이 있다는 점, 그리고 거래통념상 중대한 과실은 고의와 동일시할 수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고의에 준하는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도 허용할 것이 아니라고 확장해석을 함이 정당하다고 한 다음, 이 사건에서 피고의 피용인인 소외 박순채의 불법행위가 고의에 준하는 정도의 중대한 과실에 기인한 것이므로 피고로서는 위 손해배상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할 수 없다고 하여 피고의 상계항변을 배척하였다.

나. 민법 제496조가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상계를 금지하는 입법취지는, 일반적으로 양 당사자가 서로 상대방에 대하여 채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당사자간의 공평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원칙적으로 상계를 인정하여야 할 것이지만, 만일 고의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하여도 상계를 허용한다면 고의로 불법행위를 한 자까지도 상계권행사로 현실적으로 손해배상을 지급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보복적 불법행위를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고, 또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가해자의 상계권행사로 인하여 현실의 변제를 받을 수 없는 결과가 됨은 사회적 정의관념에 맞지 아니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하고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중과실의 경우에는 비록 그것이 고의에 준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결과발생을 미필적으로라도 의욕한 바 없다는 점에서 고의와는 구별되는 것인바, 중과실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하여 상계를 허용한다고 하여도 다른 채권이 있는 채권자가 의도적으로 중과실의 불법행위를 일으킬 수는 없는 것이므로(의도적으로 불법행위를 저지른다면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가 될 것이다) 이에 대한 상계의 허용여부는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방지와 특별한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없고, 고의가 아닌 중과실로 인한 불법행위의 경우에는 그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무자가 피해자에 대하여 다른 금전채권을 가지고 있어 상계로 상호채권을 대등액에서 소멸시킴으로써 피해자가 현실로 지급받지 못하더라도 사회적 정의관념에 부합되지 아니한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민사법의 실정법 조항의 문리해석 또는 논리해석만으로는 현실적인 법률적 분쟁을 해결할 수 없거나 사회적 정의관념에 현저히 반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법원이 실정법의 입법정신을 살려 법률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정의관념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추해석이나 확장해석을 할 수 있다고 할 것이지만, 민법 제496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위에서 본 그 입법취지나 적용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고의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한 상계금지를 중과실의 불법행위에 인한 손해배상채권에까지 유추 또는 확장 적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민법 제496조로부터 중과실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도 금지된다고 확장해석을 하여 피고의 상계항변을 배척한 원심은 민법 제496조에 대한 법률해석을 그르쳐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질렀다고 할 것(당원 1974.8.30.선고 74다958 판결 참조)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상고논지는 이유가 있다.

5.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김형선 
주심 
대법관 
박만호 
 
대법관 
이용훈 

많이 하이라이트된 문장 표시

소송경과

인용판례
유사판례
  • …는 경우에는 법원이 실정법의 입법정신을 살려 법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정의관념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추적용을 할 수 있다(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9다226135 판결 등 참조). 민사조정법 제38조는 준용할 수 있는 민사소송법 조항을 열거하고 있으나 한정적으로 열거한 것으로…

  • … 경우에는 법원이 실정법의 입법정신을 살려 법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정의관념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추적용을 할 수 있다(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등 참조). 법률의 유추적용은 법률의 흠결을 보충하는 것으로 법적 규율이 없는 사안에 대하여 그와 유사한 사안에 관한 법규범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추를 위해서는 법적…

  • 1. 가. 민사법의 실정법 조항의 문리해석 또는 논리해석만으로는 현실적인 법적 분쟁을 해결할 수 없거나 사회적 정의관념에 현저히 반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에는 법원이 실정법의 입법정신을 살려 법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정의관념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추적용을 할 수 있다(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등 참조).

  • 가. 원심은 위에서 본 사실관계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채권자대위소송 판결의 기판력에 관한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의 법리는 추심금소송에서 청구 일부를 포기하는 내용의 화해권고결정이 확정된 이 사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채무자 소외 1이 선행 추심금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안 이상 원고에게 이 사건 화해권고결정의 기판력이 미치…

  • …는 경우에는 법원이 실정법의 입법정신을 살려 법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정의관념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추적용을 할 수 있다(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등 참조). 법률의 유추적용은 법률의 흠결을 보충하는 것으로 법적 규율이 없는 사안에 대하여 그와 유사한 사안에 관한 법규범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추를 위해서는 법…

  • …로, 이러한 경우에는 그 후 다른 채권자가 동일한 소송물에 대하여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소를 제기하면 전소의 기판력을 받게 된다(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등 참조). 그러나 부동산의 소유자가 그 부동산상의 권리취득명의자를 상대로 구하는 말소등기청구와 그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를 상대로 구하는 승낙의 의사…

  • …를 받을 수 없는 결과가 됨은 사회적 정의관념에 맞지 아니하므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있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2002. 1. 25. 선고 2001다52506 판결 등 참조).

  • …맞지 아니하므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있다 할 것인바(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참조), 법이 보장하는 상계권은 이처럼 그의 채무가 고의의 불법행위에 기인하는 채무자에게는 적용이 없는 것이고, 나아가 부당이득의 원인이 고의의 불법행위에 …

인용판례 전체 보기

주석서에서 14회 인용

  •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6 제5장 불법행위 [불법행위의 요건과 인과관계]PRO

    ⋯심리상태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과 달리, 중과실의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는 허용된다(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2. 고의 고의의 의미에 관하여는 일정한 결과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알면서 감히 이를 행하는 심리상태라고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정의에 의하면 자기의 ⋯

  •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7 제5장 불법행위 [특별법상 손해배상책임Ⅰ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PRO

    ⋯할 수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과실 또는 중과실로 인한 것이므로, 가해자는 피해자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피해자의 손해배상채권과 상계할 수 있을 것이다. 각주277) 피해자의 과실과 가해자의 과실이 경합하여 사고가 발생하였고 그 피해자의 과실이 제3자에 대한 관계에서 주의의무위반으로 불법행위의 책임요건을 충족하는 것이라면(이⋯

    각주277)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채권총칙편1 제1장 총칙 제390조 [채무불이행과 손해배상]PRO

    ⋯이하지는 않지만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금지의 적용과 관련하여 중과실에 의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하여 확장하지 않는 판례의 취지 각주398) 와 관련하여 볼 때, 중과실 면책에 관한 개별 약정이 위의 견해에 따라 일률적으로 무효라고 해석하는 데에는 유보적 입장을 택하고 싶다. 이상의 면책약정과 관련하여⋯

    각주398)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채권총칙편2 제1장 총칙 제404조 [채권자대위권]PRO

    ⋯지만, 채무자가 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전소의 기판력이 다른 채권자가 제기한 후소인 채권자대위소송에 미치지 않는다고 본다. 각주551) 이에 대하여는, 역시 전소 대위판결이 후소 채권자에게 미치는 효력은 기판력이 아니라 반사적 효력이라는 반론이 있다. 2. 채권자대위소송과 중복제소 가. 대위소⋯

    각주551)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채권총칙편2 제1장 총칙 제404조 [채권자대위권]PRO

    ⋯학설도 대체로 이에 찬동한다. 다만 이를 반사적 효력이 미치는 결과라고 보는 견해와, 기판력이 미치는 결과라고 보는 견해 각주581) 가 대립한다. 그런데 채권자들이 이와 같이 함께 소를 제기한 것이 아니라, 어느 채권자가 먼저 채권자대위소송을 제기한 상태에서 다른 채권자가 공동소송참가할 수 있⋯

    각주581)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채권총칙편4 제1장 총칙 제496조 [불법행위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의 금지]PRO

    ⋯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이 규정의 취지가 있다. 각주8) 가령 Y에 대하여 대여금채무를 부담하는 X가 그 채무를 이행하지 않자, Y가 X를 폭행하여 상해를 가하거나 X의 소유물을 손괴한 후, 이로 인하여 생긴 X의 Y에⋯

    각주8)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채권총칙편4 제1장 총칙 제496조 [불법행위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의 금지]PRO

    ⋯동채권으로 하는 상계도 허용할 것이 아니라고 확장해석을 함이 정당하다는 이유로, Y의 상계항변을 배척하였다. 각주13) 그러나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다. 중과실의 경우에는 비록 그것이 고의에 준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결과발생을 미필적으로라도 의욕한 바 없다는 점에서 고⋯

  • 주석 상법 회사편 제4장 주식회사 제403조 [주주의 대표소송]PRO

    ⋯을 제기하면 그것은 이미 회사와 해당 이사 사이에서 확정된 권리관계를 회사를 대신하여 행사하는 것이어서 확정된 대표소송 판결의 기판력에 의한 제한을 받게 된다. 각주106) 나. 판결의 집행 원고승소의 대표소송 판결이 확정된 경우 권리주체인 회사는 승계집행문을 부여받아 이사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민사집행법 제25조). 원⋯

    각주106)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법 총칙1 제1장 통칙 제1조 [법원]PRO

    ⋯해석의 원칙 법률 해석은 기본적으로 그 문언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명백하게 그 문언에 어긋나는 해석은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받아들일 수 없다.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은, 민사법의 실정법 조항의 문리해석 또는 논리해석만으로는 현실적인 법률적 분쟁을 해결할 수 없거나 사회적 정의관념에 현저히 반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에 ⋯

  • 주석 민사소송법 제9판 제2권 제4장 소송절차 제218조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PRO

    ⋯자에게 미친다고 한다(다수설). 판례는, 과거에는 소극설을 취하였으나. 그 후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종전의 견해를 변경하여 절충설을 취한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각주67) 즉, 채권자가 제3채무자를 상대로 대위권에 의한 소송을 제기하여 판결을 받은 경우 어떠한 사유로 인하든 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채무자가 알았을 때에는 그 판결의 효⋯

    각주67)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사소송법 제9판 제2권 제4장 소송절차 제218조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PRO

    ⋯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았을 경우에는 그 판결의 기판력은 그 후 다른 채권자가 동일한 소송물에 대하여 채권자대위권에 기하여 제기한 소에도 미친다는 것이 판례이다. 각주72) 그러나 부동산의 소유자가 그 부동산상의 권리취득명의자를 상대로 구하는 말소등기청구와 그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를 상대로 구하는 승낙의 의사표시 청구와 같이⋯

    각주72)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사소송법 제9판 제3권 제1장 소의 제기 [총설]PRO

    ⋯ 조사하여 참작하여야 한다. 실무에서 피고가 소송요건의 흠결을 주장하고 나오는 것을 본안전항변이라 부르지만 이는 단지 법원의 직권조사를 촉구하는 의미에 그친다. 각주79) 이에 대하여 항변사항은 피고의 주장을 기다려서 비로소 조사하게 되는 것으로, 방소항변(妨訴抗辯)이라고도 한다. 임의관할(민사소송법 제30조), 중재합의(중재법⋯

    각주79)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사소송법 제9판 제3권 제1장 소의 제기 제259조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PRO

    ⋯다. 이에 대하여 채무자가 대위소송이 계속 중임을 알았을 때에 한하여 기판력을 받는다는 대법원 1975. 4. 22. 선고 74다1664 전원합의체 판결의 취지 각주19) 에 따라 이 경우에 무조건 중복소송이 된다고 볼 것이 아니라, 채무자가 대위소송이 계속 중임을 알았을 때로 한정하여 중복소송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한정적 긍정설⋯

    각주19) 대법원 1994. 8. 2. 선고 93다52808 판결

  • 주석 민사소송법 제9판 제4권 제3장 증거 제292조 [직권에 의한 증거조사]PRO

    ⋯소송수계신청의 적법 여부, 각주13) 소의 이익 유무, 각주14) 기판력저촉 여부, 각주15) 제척기간 준수 여부, 각주16) 부제소 또는 불항소 합의의 유무, 각주17) 정리채권확정의 소에서⋯

    각주15) 대법원 1994. 8. 12. 선고 93다52808 판결

62개 문헌에서 인용

닫기

PRO 회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미 PRO 회원이신 경우, 로그인해 주세요.

오류 신고하기

현재 판결문에서 잘못 표기된 부분이 있거나 소송경과, 확정 여부 정보 등에 대해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확인 후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의견보내기

케이스노트의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까요?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은 케이스노트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